스팀트랩의 선정 : 용도에 적합한 스팀트랩의 선정
컨텐츠:
여러가지 증기의 사용용도를 가지고 있는 시스템에서 가장 적합한 스팀트랩을 선정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 입니다.
스팀트랩의 선정시 에는 압력, 온도, 배출용량, 트랩의 타입, 재질등의 객관적인 자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 부분들을 단계를 나누어 간단하게 설명 하도록 하겠습니다.
Step 1:
배출되는 응축수의 상태(포화온도의 응축수, 과냉각 응축수) 및 용도에 적합한 타입의 스팀트랩인가.
Step 2:
작동압력, 온도, 방향, 배관상태등 사용조건에 적합한 스팀트랩선정인가.
Step 3:
발생하는 응축수의 양을 계산한 후 안전율을 적용한 것인가.
Step 4:
Life Cycle Cost (LCC)가 가장 적게 드는 스팀트랩의 선정인가.
증기 사용에 있어서 용도별로 3가지로 나누어 어떻게 선정하는지 알아 보겠습니다.
용도별 스팀트랩의 선정 요령
스팀트랩은 응축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장치로 증기의 배관, 열교환기, 트레이스 그리고 발전용 터빈등 여러 용도로 사용됩니다. 각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조건은 달라 집니다.
스팀트랩의 용도

증기 유송배관
증기 주관의 역활은 건도 높은 증기를 증기사용장치나 트레이스 라인까지 공급하는 것 입니다. 증기 주관에 설치되어 있는 스팀트랩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워터햄머의 방지 입니다. 워터햄머의 방지를 위해서는 응축수의 발생과 동시에 배출을 하여 배관내에 체류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열교환기
열교환기의 효율 저하는 생산량과 품질에 바로 연결되게 됩니다. 따라서 초기의 스타트업 시간이 짧을것과 응축수가 체류되지 않을 것을 만족하는 스팀트랩을 선정 하여야 합니다.
장치는 초기의 스타트업시에 체류되어 있던 에어 또한 배출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스팀트랩에 에어의 배출 기능이 포함되야 합니다.
열교환기에는 증기의 공급을 조절하는 밸브(컨트롤 밸브)를 사용하는데, 증기의 공급량에 따라서는 실제 열교환기 내부의 압력이 배압보다 낮아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스톨현상이라고 부르며, 이 때는 다른 방식의 응축수 배출방법이 요구됩니다. 스톨현상이 발생하기 쉬운 장치에서는 스팀트랩이 내장된 메카니컬 펌프인 파워트랩이 효과적 입니다.
스톨현상에 대한 정보는 여기를 읽어 주십시오. 스톨현상이란 무엇일까요?
트레이스 라인
트레이스 라인의 스팀트랩에서 필요로 하는 요건은 다른 용도와는 다릅니다. 주로 전열 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동관을 많이 사용하며 100 °C 이하온도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동이온에 의한 스팀트랩의 막힘을 줄이며, 현열까지 사용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됩니다.
동력 구동시스템
동력 구동시스템은 터빈을 사용하는 컴프렛서, 펌프, 발전기뿐 아니라 증기를 사용하는 성형기 또한 포함됩니다. 각 장치들은 효율과 장치 자체의 손상을 줄이기 위해 응축수를 신속히 배출 하여야 합니다.
용도의 요약과 스팀트랩의 요건
용도 | 스팀트랩의 요건 | 제품의 예 |
---|---|---|
증기 유송배관 |
|
![]() ![]() SS / FS series |
열교환기 스톨현상이 발생하지 않을때 |
|
![]() JX시리즈 |
열교환기 스톨현상이 발생할 때 |
|
![]() GT series |
트레이스 배관 높은 온도 |
|
![]() ![]() ![]() SS시리즈 / LV21 / P46S |
트레이스 배관 저온 |
|
![]() LEX3N |
동력 장치 정압 |
|
![]() ![]() JH / FS시리즈 |
동력 장치 부압 |
|
|
* 배관의 사이즈 혹은 스팀트랩의 선정시 TLV에 연락을 주시면 더욱 적합한 선정이 가능합니다.
응축수를 배출하는 스팀트랩중 어떤 타입의 스팀트랩이 용도에 적합한지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스팀트랩의 사용조건에 따른 선정 내용은 part2를 읽어 주십시오.
바이메탈식 스팀트랩의 작동법:메커니즘과 장점 살펴보기 | 스팀트랩의 선정 : 사용조건의 이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