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트랩의 선정 : 사용조건의 이해
컨텐츠:
Part 1에서는 증기사용 용도에 따라 트랩의 선정이 달라지는 것을, Part 2에서는 사용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트랩의 사양에 대하여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조건에 따른 스팀트랩의 선정
스팀트랩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압력, 온도, 응축수 배출량, 재질 그리고 접속형태를 알아야 합니다.
접속형태

스팀트랩의 선정에서 접속형태는 아주 중요 합니다. 예를 들어 스팀트랩의 기본접속형태는 NPT(national pipe thread)에 대하여 배관의 접속 형태는 용접식 인 경우 등이 있습니다.
추가적인 정보로 응축수의 최대 발생량과 최소 발생량, 모든 환경 조건에서의 차압의 확보에 대하여 알아야 합니다.
본체 재질
트랩의 재질은 선정시 필요되는 중요한 조건중 한가지 입니다. 재질은 최대사용온도와 압력을 결정하는 기초가 되며 제품의 수명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재질은 압력과 사용 장소에 따라 스팀트랩의 몸체, 커버, 그리고 다른 파트들로 나누어 집니다. 몇가지 예
- 회주철/덕타일 주철
- 카본 스틸
- 스테인레스 스틸
본체 재질의 최대허용압력/온도는 스팀트랩의 최대운전압력/온도와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그 것은 스팀트랩 내부의 다른 부품(예: 가스켓, 오리피스등)에서 최고사용압력/온도가 제한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국제규격 ASME / DIN 에 따라서 최대 운전압력및 온도가 달라집니다. 예로 A126 주철의 최대 허용압력은 DIN규격에서는 13barg 이지만 ASME에서는 16barg입니다. 또한 메인터넌스의 용이성과 긴 수명으로 스테인레스 재질이 최근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곳이 늘고 있습니다..
사이즈
스팀트랩의 선정에서 필요한 접속 사이즈를 결정 할 때, 많은 사용처에서 예전부터 설치되어 있던 사이즈를 그대로 선정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본래 트랩의 접속 사이즈를 선정하는 것은 증기 설비의 응축수 발생량을 기초하여 설계된 응축수 출구의 사이즈에 맞추는 것이 알맞은 방법 입니다.
증기 설비의 응축수 출구 사이즈는 일반적으로 아래의 내용에 따라 결정 됩니다.
최대 응축수 발생량 | 열교환 설비의 출구측 사이즈 |
---|---|
200 kg/h미만 [440 lb/h] | 15 mm [1/2 in.] |
200 - 500 kg/h [440 - 1100 lb/h] | 20 mm [3/4 in.] |
0.5 - 1 t/h | 25 mm [1 in.] |
1 - 2 t/h | 32 mm [1 1/4 in.] |
2 - 3 t/h | 40 mm [1 1/2 in.] |
3 - 5 t/h | 50 mm [2 in.] |
5 t/h이상 | 65 - 100 mm [2 1/2 - 4 in.] |
* 배관의 사이즈 혹은 스팀트랩의 선정시 TLV에 연락을 주시면 더욱 적합한 선정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스팀트랩의 사이즈는 응축수 체류와 그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장치의 출구보다 작은 사이즈로는 선정하지 않습니다.
게다가 스팀트랩의 출구배관 사이즈는 트랩의 사이즈에 맞추는 것이 아니라 응축수유량과 한계 압력손실등을 고려하여 선정하게 됩니다. 상세한 정보는 이 토픽을 읽어 주십시오. 응축수 회수배관
접속형태
스팀 유져는 일반적으로 스크류, 용접 또는 플랜지등 각 사업장의 시방의 요구에 따르게 됩니다.
스크류 방식의 접속형태가 플랜지 방식에 비하여 설치 비용이 적게 들지만, 스팀트랩의 교체를 위하여 배관에서 분리할 때를 위해 유니온을 설치해야 하는 등의 부가장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스크류 부분의 실링성을 유지하는것 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용접방식의 접속형태는 스팀의 누설이 적어 많은 플랜트에서 표준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한번 설치를 하면 분리하기가 힘들며 설치비와 메인터넌스비용이 많이 소요됩니다. 특히 전문 용접공의 부족으로 설치와 수리가 늦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플랜지방식의 접속형태는 손쉽게 설치 및 수리가 가능합니다. 면간거리만 같다고 하면 새 트랩으로 교체하는것 또한 간단합니다. 면간거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플랜트의 건설당시 반드시 명시되는 부분중 한가지 입니다.
플랜지 접속의 예

운전상태와 설치환경의 선정이 완료된후 다음 단계인 응축수 배출량과 안전율 그리고 가장 친환경적인 스팀트랩의 선정을 part 3에서 알아 보겠습니다.
스팀트랩의 선정 : 용도에 적합한 스팀트랩의 선정 | 스팀트랩의 선정: 안전율과 라이프 사이클 코스트 |